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vue기초
- git rebase
- redux 기초
- erc4337
- 러스트기초
- redux toolkit 설명
- 러스트 기초
- Vue
- ethers typescript
- 스마트컨트렉트 예약어 함수이름 중복
- 스마트컨트렉트 함수이름 중복 호출
- SBT표준
- rust 기초
- ethers websocket
- 체인의정석
- 컨트렉트 동일한 함수이름 호출
- ethers v6
- 오블완
- 머신러닝기초
- 스마트 컨트렉트 함수이름 중복
- 티스토리챌린지
- Vue.js
- 러스트 기초 학습
- cloud hsm 사용하기
- ethers type
- cloud hsm 서명
- ambiguous function description
- erc4337 contract
- cloud hsm
- 계정추상화
- Today
- Total
목록2023/09/14 (2)
체인의정석
이번에 살펴볼 내용은 ERC-5484 이다. https://eips.ethereum.org/EIPS/eip-5484 ERC-5484: Consensual Soulbound Tokens Interface for special NFTs with immutable ownership and pre-determined immutable burn authorization eips.ethereum.org 먼저 해당 표준이 나온 동기부터 살펴보도록 하자 "소울바운드 토큰에 대한 아이디어는 출판 이후 상당한 주목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표준 인터페이스가 없으면 소울바운드 토큰은 호환되지 않습니다. 토큰 구현에 대한 최소한의 합의 없이 소울바운드 토큰을 대상으로 하는 보편적인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이 EIP는..

1. 들어가며 먼저 SoulBoundToken이란 전송 불가능한 토큰으로서 최근 메타버스 분야를 비롯하여 많은 곳에서 인증의 수단이나 활용의 수단으로 쓰이고 있다. 필자는 서강대 메타버스전문대학원 과정의 학생으로서 SBT에 대한 공부를 좀 살펴보려는 취지에서 따로 조사를 진행하기 위하여 글로 정리하는 것이며 대략적으로 SBT는 전송이 불가능하다는 특징 외에는 아는 것이 없었는데 SBT와 관련된 공식 표준을 통해서 어떤 내용이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다. 필자도 처음 살펴보는 내용이므로 해당 내용은 투자정보 또는 100% 자세한 내용임은 보장할 수 없지만 더 전문적이고 자세한 연구글이 나오기 전까지 처음 SBT의 구현체를 접근하려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하여 해당 글을 작성한다. 사실 SBT의 표준에 대..